열차무선통신

 열차무선통신

 

케이원은 철도통신에 무선망을 더해 국내 철도차량 안전기준 규칙을 준수하고 국제 표준화된 열차무선통신 방식을 채택하여 열차 차상장치를 공급합니다.
국내 최초 TETRA 기반 Train-Radio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며 열차무선 관제서버/관제 조작반(CAD) 국산화를 통해 도시철도공사, 고속철도, 경전철 등에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. 또한 세계 최초 LTE-R기반 열차무선 차상이동국을 국산화하여 전국을 잇는 철도망의 영역을 넓힘으로써 열차 무선통신의 선두주자로 발돋움합니다.

열차무선통신(Train Radio System) 이란?

LTE/TETRA 통신기술등을 철도서비스에 적용하여 열차운행정보(CAD) 표출, 개별/그룹 통화, 일제통화, 비상통화, 방송통화(민방위 방송, 객실안내방송, 객실비상인터폰 방송 ) 등을 서비스 합니다. 또한, 최신기술인 LTE는 기존 열차무선 시스템이 가지지 못하였던 고속의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와 각종 미디어 처리 그리고 선명한 음성통화가 가능하며 보안성과 안정성을 확보하여 차량 내 타 시스템과 원활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.

구성도

적용사례

기대효과

안정적인 다수의 TETRA 열차무선시스템 및 LTE-R 열차무선시스템 구축 경험을 통해 구축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TETRA 시스템 및 LTE-R 시스템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열차무선시스템을 국내·외 철도사업자들에 제공하며 열차무선시스템의 성공적인 사업수행을 보장합니다.

보유 솔루션

VHF. TETRA. ASTRO. LTE-R 통합열차무선시스템

기존 개별적으로 사용되던 다양한 통신방식의 장치를 하나의 통합시스템[VHF(Voice), ASTRO(Voice+Data), TETRA, LTE-R]를 하나의 장비로 통합 제어.

■ 통합 열차무선 시스템 (VHF+ASTRO+TETRA) 개발 공급 (2010~)
[주요실적]
· KTX-I 92set(2010)
· KTX-II 산천 40set(2011)
· KTX-II 호남 44set(2013~2014)
· 수서평택 20set(2014~2015)
· 원주강릉 30set(2015~2016)

VHF/LTE-R 열차무선장치

기존 개별적으로 사용되던 VHF(Voice), LTE-R을 하나의 장비에서 망 절체를 진행하여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제공

■ 열차무선장치(VHF/LTE-R) 개발 공급
[주요실적]
· 진접선 전동차 50량 열차무선장치(VHF/LTE-R) 공급 (2019~2021)
· KORAIL 448량(경인/분당/과천안산/일산) 열차무선장치 공급 (2019~현재)
· EMU-150 150량 열차무선공급장치(VHF/LTE-R) 공급 (2019~현재)
· 대곡-소사 열차무선공급장치(LTE-R) 공급 (2020~2021)
· EMU-150 208량 열차무선공급장치(VHF/LTE-R) 공급 (2021~현재)
· KORAIL 광역철도 148편성 열차무선장치(VHF/LTE-R) 공급 (2022~현재)

LTE-R 열차무선시스템

국가재난망 주파수를 활용한 열차무선 시스템으로 기존의 VHF 및 TETRA망을 사용하던 보이스 위주의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장치.

■기능
· 영상통화 (개별영상통화, 그룹영상통화) 기능
· 관제방송, 관제승객비상통화 기능
· 객실카메라영상 지상영상표출장치로 전송 기능
· TCMS의 열차상태정보 지령서버로 전송 기능

■ 세계 최초의 LTE-R 기반 열차 무선 시스템 공급 (2016~)
[주요실적]
· 부산메트로 1호선 145set(2016) : 영업운전 중
· 공항철도 74set(2017)
· 서울메트로 5호선 4set(2017)
· 서울메트로 5호선 137set(2018)

TETRA 기반 열차무선 시스템

TETRA망을 이용하여 관제 및 열차무선 사용자들간의 통화 및 무선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시스템.

■ 국내 최초의 TETRA 기반 열차 무선 시스템 공급 (2005~)
[주요실적]
- 국내
· 부산교통공사 3호선 : 2005년 운행

· 서울9호선 1, 2, 3단계 : 2008년 공급
· 신분당선 : 2011년 운행
· 부산김해경전철 : 2011년 운행
· 반송선경전철 : 2011년 운행선
· 인천자기부상열차: 2015년 운행

- 해외
· Brazil Central Project : 2005년 공급
· DMRC (Delhi Metro Rail Corporation , Line 1,2) : 2009년 공급
· MMOPL (Mumbai Metro One Private Limited) : 2010년 공급
· BMRCL (Bangalore Metro Rail Corporation Limited) : 2011년 공급
· DLF Metro (New Delhi Line) : 2012년 공급
· HONGKONG SCL(Shatin-Central Line) : 2014년 공급
· 말레이시아 KVMRT(Klang Valley Mass Rail Transit) : 2015년 공급
· DMRC 3단계 : 2015년 공급완료
· 메가 아메바다드 : 2018년 공급
· 뭄바이 3호선 : 2019년 공급
· 노이다 메트로 : 2017년 공급
· 콜카타 메트로 : 2018년 공급
· 첸나이 메트로 확장선 : 2020년 공급
· 캉푸라-아그라 메트로 : 2022년 공급
· 보팔-인도르 메트로 : 2023년 계약
· DMRC 4단계 : 2023년 계약

지령관제조작반 및 열차고장정보 시스템(CAD/TFIS)

통신관제(CAD)시스템 및 철도고장정보시스템을 통하여 효울적인 열차운영 및 유지보수 가능(TETRA TRS 및 LTE-R TRS에 의해 지원)

■ 국내 최초 “Railway CAD (Computer Aided Dispatcher) Software” 개발공급
[주요실적]
· 서울 메트로 9호선 CAD 서브시스템 공급
· 공항철도 CAD 서브시스템 공급
· 신분당선 CAD 서브시스템 공급
· 부산김해경전철 CAD 서브시스템 공급
· 인천자기부상열차 CAD 서브시스템 공급
· 반송선경전철 CAD 서브시스템 공급

[주요기능]
· Dispatch 기능 : 차상, 역사, 선로변의 모든 음성 및 데이터 처리  통화그룹별, 비상통화
· 보안 기능 : Login/out, Access level, Event-logging, Audit trial
· 외부 인터페이스 : ATS, Infotainment etc.
· 차상 인터페이스 : TCMS, PA/PIS

■ 국내 최초 실시간 “열차고장정보서버 (TFIS)” 개발공급 (2006년)
[주요실적]
· 공항철도 (AREX) 열차무선 열차고장서버 공급
· 부산김해경전철 열차무선 열차고장서버 공급

[주요기능]
· 편성별 열차고장 발생 이력정보 제공 기능
· 열차고장(장치)별 이력정보 제공 기능
· 각종 보고서 출력기능

비상방송시스템

차량의 분리 등, 객실방송 및 조명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각 객실로 비상 안내방송 및 비상 조명을 공급하고 열차 방송 시스템과 별개의 승객비상인터폰을 통해 관제사령과 승객간 통화를 가능하도록 하여, 승객의 안전한 비상 대응을 도모하기 위한 시스템.

LTE-R망을 이용한 비상방송장치 개발 공급 (2018~)
[주요실적]
· 부산교통공사 1호선 40량 (2018)
· 부산교통공사 1호선 96량 (2019)
· 부산교통공사 1호선 200량 (2021)

공공안전통신망(Band28) 전용 LTE 라우터

LTE망(Band 28 및 상용 LTE)을 이용하여 무선모뎀 상호간 및 EPC의 P-Gateway를 통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시스템

■ LTE-R 구축 사업자(철도기관 및 사업자) 및 일반 사업장들의 LTE망을 활용한 정보 전송 및 관리
[주요기능]
· LTE[700MHz(Band 28), 기존 통신사 LTE 주파수] 기반의 무선 라우터 기능 지원
· RJ-45를 통한 내부IP 자동할당, 고정할당 지원
· 전원, 네트워크 접속 여부, WiFi 동작 여부, RJ-45 링크 동작 여부 표시
· WiFi 기능 On/Off 설정 가능
· Harness Type 시리얼 포트 지원
· 진동에 문제없는 Harness Type Socket의 전원공급장치(DC12V) 제공

■LTE-R 라우터 개발 공급 (2018~)
[주요실적]
· 부산메트로 1호선 175 set (2018)
· 부산교통공사 225식 (2018)
· 서울교통공사 10식 (2019)
· 공항철도 102식 (2020, 2021, 2022)

담당자

ICT 사업부 김준철 이사 | happyman@k-one.co.kr